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전환율
- 서말리포켓
- allra
- fundbox
- activation
- 팔방이익구조
- model_selection
- 한장으로끝내는비즈니스모델100
- sklearn
- 퍼널분석
- 셀프스토리지
- 바로팜
- 역설구조
- 인게이지먼트
- 리텐션
- CAC
- pmf
- 머신러닝
- 핀테크
- 올라
- mysql설치 #mysql #mysqluser #mysqlworkbench
- BM분석
- 코호트
- retention
- 그로스해킹
- aarrr
- 선정산서비스
- 활성화
- 데이터분석
- 비즈니스모델
- Today
- Total
데이터로그😎
[Business Model 분석] 한 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 본문
0. 다짐
지난 회사에서 제가 맡았던 역할 중 하나는 고객사의 데이터를 검토하고 쓸모를 찾는 것이었습니다. 고객의 요구사항을 먼저 체크한 후 '이 데이터로 과연 특정 KPI를 구현할 수 있는가'에 주안점을 두고 열심히 데이터를 뜯어 보았더랬죠.
매출, 재무, 영업, 마케팅, 재고, 생산 등 다양한 도메인의 데이터를 살펴보면서 항상 느꼈습니다. 아무리 바빠도 고객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먼저 파악하는게 우선이라는 것을요. 그래야 비즈니스의 어떤 흐름에서 발생한 데이터인지, 중요도는 얼마인지를 이해하고 KPI를 구성할 수 있겠더라구요. 그래서 프로젝트에 들어가기 이전 항상 고객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복잡한 사업 모델을 가진 고객사를 마주치면 비즈니스 모델 파악이 꽤나 어려워 주춤하곤 했는데요, 그 때의 당혹감을 앞으로는 느끼지 않길 바라며 책 <한 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깊이 공부해보려 합니다. 경영학을 전공했고 몇 개의 회사를 거친 지금에도 비즈니스 모델 파악하기를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한 저 자신에 대한 반성과 내일은 더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학습에 들어가겠습니다! 이번 공부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저의 목표는 다음 두가지 입니다. 화잇팅!! 👍
- 돈/사람/정보/물건 4가지 요소의 흐름을 파악하고, 어느 부분에서 매출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자.
- 어느 부분에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자.
1.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물건, 돈, 정보, 사람은 기업 경영에 핵심적인 4대 자원으로, 기업이 경영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원입니다. 이 네 가지의 경영 자원 중 하나 이상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하거나 혁신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물건', 즉 물적 자원의 혁신은 고객에게 새로운 핵심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며, '정보'의 혁신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가능케 합니다. 또한, '사람'을 혁신하여 조직을 재구성하거나 이해관계자를 끌어들일 수 있고 '돈'의 흐름을 변경하여 새로운 자금의 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각 자원의 혁신은 비즈니스 모델의 차별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접근이 될 수 있습니다.
2. 살아남는 비즈니스 모델
1. 역설 구조가 있다
2. 팔방이익의 구조다.
3. 수익 시스템이 있다.
살아남는 비즈니스 모델은 위의 3가지 요소(역설 구조, 팔방 이익 구조, 수익 시스템)를 반드시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제가 다니던 회사 중 한 곳이 사업을 접었던 적이 있는데, 그때를 떠올려보니 이 세 가지 요소 중 하나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어떻게든 굴러가던 사업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삐걱거리더니, 결국 한계에 다다르며 멈춰버린 것이죠. 지금 돌이켜보면, 그 때 세 가지 요소 중 하나가 빠진 채로 달리고 있어서 그랬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모든 요소가 완벽히 갖춰진 곳에서 일할 날을 꿈꾸며 살아남는 비즈니스 모델의 세 가지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2.1. 역설 구조
역설 구조는 비즈니스의 창조성(Creative)을 결정합니다. 이는 다음 그림과 같이 기점, 정설 그리고 역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소 | 의미 | 예시 (오레노 프렌치) |
기점 | 비즈니스가 일반적으로 무엇을 제공하고 있는가? (주된 사업 영역) |
일류 프랑스 요리 |
정설 | 기점이 되는 것이 이 세상에서 어떤 이미지인가? 어떤 점이 일반적으로 인식 되는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할 수 있음) |
앉아서 오랫동안 먹는 값 비싼 요리 |
역설 | 정설에 대해 무엇이 반대인가? (한 가지 정설에 대해 여러 가지 역설이 있을 수 있음) | 서서 빠르게 먹는 저렴한 요리 |
지금까지 비즈니스에서 기점은 정설이었습니다. 그러나 비즈니스 2.0에서는 역설이 기점입니다. 일본의 프렌치 레스토랑인 '오레노 프렌치'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랑스 요리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오랫동안 앉아서 먹는 코스 요리, 고가'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이는 일류 프랑스 요리라는 사업 영역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정설'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럼 역설을 생각해볼까요? 정설의 반대를 떠올려보면 '빠르게 서서 먹는 요리, 저가'가 떠오릅니다. 이제 기점+역설을 합쳐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일류 프랑스 요리를 빠르게 서서,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겁니다. 이렇게 탄생한 새로운 비즈니스가 '오레노 프렌치'입니다. 오레노 프렌치를 운영하는 오레노 기업은 역설 구조를 통해 대중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그 결과 현재는 이탈리안, 스패니쉬 등 더 많은 고급 요리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HMZGWN080
스탠딩테이블의 경제학, 고급 요리도 서서 먹어요
산업 > 생활 뉴스: 지난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해밀턴호텔 뒷편 먹자골목에 위치한 이탈리안 레스토랑 '오레노'. 절반이 넘는 테이블에 의자가...
www.sedaily.com
2.2. 팔방이익 구조

오늘날의 비즈니스 환경은 buyer, seller만의 관계만으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사업을 함께 꾸려나가는 직원들의 복지도 생각해야 하고 상장 기업이라면 주주 역시 생각해야겠죠. 환경 문제가 심화된 요즘은 지구 또한 생각해야 합니다. 이렇듯 비즈니스를 운영할 땐 고려해야 할 많은 이해관계자를 8개의 주체로 요약하여 만든 구조가 바로 팔방이익 구조입니다. 팔방이익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주체를 희생시켜 성립되는 비즈니스는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직원 복지를 희생하면 악덕 기업이 될 것이고 환경을 희생한다면 환경 단체의 반발을 얻겠죠. 이처럼 하나의 주체의 희생을 전제로 하는 비즈니스는 지속하기 어려워집니다.
2.3. 살아남는 비즈니스 모델의 특징

앞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역설구조(C) + 팔방이익 구조(S) + 수익 구조(B) (이하 SBC)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수익 구조를 통해 경제적인 합리성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사업의 수익성(Business)을 고려해야 하고, 역설 구조를 통해 창조성(Creative)이 있는지도 판단해야 합니다. 그리고 팔방이익 구조를 통해 사회성(Social)이 있는지도 판단해야 합니다. (사회성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어렵고 대표적인 방법도 없습니다. 따라서 네거티브 체크 정도로만 사용하고 필수 조건으로 삼지는 않습니다.)
3. 대차대조표로 보는 Social, Business, Creative

대차대조표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재무제표로, 기업이 보유한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무엇을 소유하고(자산) 얼마의 빚을 졌으며(부채) 주주들에게 남는 순자산(자본)은 얼마인지를 알 수 있죠. 위에서 살펴보았던 SBC와 대차대조표를 연관시켜 살펴볼까요?
대차대조표의 오른쪽(대변)은 '돈을 어떻게 조달했는가?'를, 왼쪽(차변)은 '돈을 무엇에 사용했는가?'를 보여줍니다. 이 때 부채나 순자산을 통해 모은 자본을 자산으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수익 시스템(Business)을 구축하게 됩니다. 자산을 통해 무형 자산을 생성 또는 증가시키는 과정은 기업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무형 자산에는 신용, 인재, 아이디어, 노하우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자산이 증가하면 시가 총액도 상승하게 됩니다. 무형 자산의 증가는 창조성(Creative)을 통해 이뤄지게 됩니다.
또한, 재무제표에 나와있지 않은 비재무 정보도 중요한 경영 지표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탄소 배출량, 환경 규제 준수 여부와 같은 환경적 요소와 직원 복지, 근무 환경 향상, 다양성 포용 정책과 같은 사회적 요소는 재무제표에는 포함되진 않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Social)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단기적인 재무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미래의 지속 가능성과 장기적인 투자 가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비즈니스 모델 도해



5. 정리하며
과거의 비즈니스 모델은 고객과 판매자 간의 단순한 거래 구조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주로 경제적 합리성이 주목받는 구조였죠. 그러나 이제는 고객과 판매자 를 넘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 참여합니다. 따라서 이들이 모두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성 역시 중요해졌습니다. 단순한 재무적 수익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이 핵심 평가 요소로 자리잡은 것이죠. 또한,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되고 소비자들의 경험 수준이 높아지면서, 단순한 제품과 서비스의 제공을 넘어 브랜드 고유의 차별성을 구축하는 창조성이 필수적인 경쟁 요소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할 때 주로 수익 구조 중심의 접근을 해왔다면, 앞으로는 창의성과 사회적 가치까지 총제적으로 고려하여 사업의 지속성을 평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할 것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진행 해봐야겠습니다.
# 참고서적
https://www.yes24.com/product/goods/76148996
한 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 - 예스24
“수백 권의 비즈니스 책을 봐도 이해되지 않는 혁신 구조가 단 한 장으로 이해된다!”오늘날의 변화는 엄청난 속도로 쉴 새 없이 진행되고 있다. 단순히 어제의 것을 더 좋게 만드는 수준이 아
www.ye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