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핀테크
- 팔방이익구조
- model_selection
- 바로팜
- 데이터분석
- 퍼널분석
- 전환율
- 선정산서비스
- 올라
- allra
- 리텐션
- 그로스해킹
- sklearn
- 역설구조
- pmf
- 활성화
- 한장으로끝내는비즈니스모델100
- 머신러닝
- BM분석
- 서말리포켓
- fundbox
- retention
- mysql설치 #mysql #mysqluser #mysqlworkbench
- activation
- 코호트
- 셀프스토리지
- aarrr
- 인게이지먼트
- CAC
- 비즈니스모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87)
데이터로그😎

SSH (Secure SHell) Client가 Server를 원격으로 제어할 때 SSH를 사용한다. Server 컴퓨터: SSH Server 설치되어 있어야 함 Client 컴퓨터: SSH Client 설치되어 있어야 함. SSH Client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Server 컴퓨터를 제어한다. openssh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시오. 만약 없다면... 아래 설치 command 참고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openssh-client ssh start ssh server를 시작한다. sudo service ssh start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확인 sshd~~가 있다면 정상! 이제 Client가 접속할 때를 대비하여 ssh 서버가 켜져있게 됨. SSH Clien..

인터넷 (Internet) 인터넷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의 집합체로, 수많은 컴퓨터 및 네트워크 장치들이 정보를 교환하고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request, response가 반복되는 통신, 컴퓨터 간의 대화 예를들어 우리가 Web browser를 켜서 google.com 을 입력하고 엔터를 쳤다. 이를 통해 우리는 google server에 요청(request)를 한 것이다. 그리고 google server는 google.com 창을 보여줌으로써 응답(response)을 한다. 서버에 접속하는 법 domain name 사용: google.com 이 google server의 domain name이다. 이와 같은 도메인 일므을 웹 브라우저에서 검색하여 서버에 접속..

권한에 대하여 unix 계열 시스템에서 permission을 통해 제어하는 대상 -> File & Directory Permission = 어떤 User가 어떤 File & Directory에 대해 읽기/쓰기/실행을 할 수 있도록 혹은 없도록 하는 권한 A 유저가 생성한 perm.txt라는 파일에 B 유저가 글을 작성하려 한다면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뜬다. perm.txt 에 대한 권한을 확인해보자 ls -l perm.txt type access mode ( rw- / rw- / r --) rw- : user의 권한(여기서 user는 owner를 의미) (read, wright) (실행권한은 X) r- : group의 권한 (read) (쓰기, 실행권한은 X) r-- : other 유저..

다중 사용자 여러명이 운영체제를 같이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id => 자신이 누군지 알 수 있다. 내 계정 확인하기. (base) ubuntu@JeeYeon:~$ id uid=1000(ubuntu) gid=1000(ubuntu) groups=1000(ubuntu),4(adm),20(dialout),24(cdrom),25(floppy),27(sudo),29(audio),30(dip),44(video),46(plugdev),116(netdev) uid = user id gid = group id who => 현재 이 시스템에 누가 접속해 있는가? 시스템에 접속한 모든 계정 확인하기 (base) ubuntu@JeeYeon:~$ who ubuntu pts/1 2024-01-16 10:02 아래의 사진은 c..

컴퓨터의 구조 구조 설명 종류 Processor - 컴퓨터의 두뇌. 주어진 명령어를 해독, 실행. - Memory에 올라와 있는 상태의 프로그램을 CPU가 읽어서 동작 후 데이터 처리 CPU Memory - 프로그램을 실제 사용할 때 storage의 프로그램을 읽어서 memory에 적재시킴. - 실행되지 않는 프로그램은 memory에 올라오지 않음 - 프로그램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명령을 임시저장. -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 손실. RAM, cache Storage - 프로그램이 깔려있는 장소 (명령어) -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 보존. HDD, SSD Storage : command(mkdir, top, rm등)는 /bin, /sbin과 같은 storage에 파일의 형태(*progr..

디렉토리 구조 참조: https://www.thegeekstuff.com/2010/09/linux-file-system-structure/ linux에서 root 위치에서 pwd를 실행하면 / 라고 뜬다. 이 때 root의 하위 디렉토리들을 살펴보자. (base) ubuntu@JeeYeon:/$ tree -L 1 . ├── bin -> usr/bin ├── boot ├── dev ├── etc ├── home ├── init ├── lib -> usr/lib ├── lib32 -> usr/lib32 ├── lib64 -> usr/lib64 ├── libx32 -> usr/libx32 ├── lost+found ├── media ├── mnt ├── opt ├── proc ├── root ├── ru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