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로그😎

[재무제표1] 회사의 수익성 평가하기 (이익) 본문

#2. Data Analysis/#2.3. 비즈니스 모델

[재무제표1] 회사의 수익성 평가하기 (이익)

지지킴 2025. 6. 11. 16:13

0. 들어가며

경영활동 회계 (요약활동) 재무제표
영업실적 ➡️ 손익계산서 (얼마를 팔아서 얼마를 남겼나?)
재산상태 ➡️ 재무상태표 (재산을 얼마며, 빚은 얼마인가?)

 

재무제표는 경영활동의 요약표입니다. 회계라는 활동을 통해 회사의 영업실적과 재산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것이죠. 

기업의 재무제표를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재무제표에 대해 알아보며, 다음의 질문들에 어떻게 답변할 수 있을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 회사의 현재 재산 상태는?
2. 회사의 사업은 돈이 되는가? (수익성)
3. 회사의 자산은 적절히 구성되고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활동성)
4. 회사가 망할 위험은? (안정성)

1. 회사의 현재 재산 상태는? (재무상태표)

1.1. 자산, 부채, 자본

어떤 사업체가 가진 전체 자원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사업체가 보유한 모든 경제적 가치인 자산이고, 다른 하나는 그 자산에 대한 소유권입니다. 이 소유권은 다시 사업체 주인의 몫인 자본과 타인에게 갚아야 할 목인 부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가 은퇴 후 치킨집을 시작하며 총 3억 원을 투자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3억 원은 A 본인이 모은 2억 원과 은행에서 빌린 1억 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치킨집의 재산 상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자산: 3억 원. 치킨집 운영에 사용되는 총 자원 ➡️ 사업체가 보유한 총 경제적 가치
  • 부채: 1억 원. 은행에 갚아야 할 몫 ➡️ 타인에게 갚아야 할 의무
  • 자본: 2억 원. A의 자기자본 ➡️ 사업체 주인의 순수한 소유분

이처럼 사업에 활용되는 전체 자산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1.2. 재무상태표: 특정 시점의 재산 상태

재무상태표
자산 부채
자본

 

리의 개인 통장 속 잔고가 매일 변하듯이, 기업의 재산 상태 역시 항상 변동합니다. 따라서 기업의 재산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 날짜를 정해 그 시점에 기업이 무엇을 얼마나 가지고 있고, 누구에게 얼마를 갚아야 하며, 주주의 몫은 얼마인지를 측정해야 합니다.

 

기업이 가진 이러한 특정 시점의 재산 상태를 한 눈에 보여주는 재무 보고서가 바로 재무상태표입니다. 재무상태표에는 항상 기준 날짜가 명시되어 있어, 해당 시점의 재산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앞서 예시로 살펴본 것처럼 자산,부채,자본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다음의 기본 공식이 항상 성립합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이 공식은 기업이 가진 모든 자산은 결국 순수한 내 것(자본)과 남의 것(부채)으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무상태표를 통해 기업의 자산 구성과 그 자산에 대한 소유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회사의 사업은 돈이 되는가? 

2.1. 손익계산서: 사업 성과 이해하기

손익계산서
매출액 XX원
(-) 매출원가 XX원
= 매출총이익 XX원
(-) 판매비와관리비 XX원
= 영업이익 XX원
(+) 영업외수익 XX원
(-) 영업외비용 XX원
= 세전이익 XX원
(-) 법인세비용 XX원
= 당기순이익 XX원

 

회사가 사업을 통해 돈을 벌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회사가 돈을 벌기 위해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며, 당연히 비용도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치킨집을 운영하는 A씨가 돈을 벌기 위해서는 치킨을 튀길 장비를 사고, 닭과 재료를 구매하며, 가게를 홍보하기 위한 광고도 해야 합니다. 회사도 마찬가지로 제품/서비스 생산, 마케팅, 운송 등 다양한 활동에 비용을 지출합니다.

이렇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회사에 들어오는 돈을 수익, 그리고 수익을 얻기 위해 사용한 돈을 비용이라고 합니다. 회사가 사업을 통해 실제로 벌어들인 돈, 즉 수익에서 비용을 뺀 차액을 이익 (또는 손실)이라고 합니다.

  • 수익 > 비용: 남는 금액이 플러스(+)인 경우 이익
  • 수익 < 비용: 남는 금액이 마이너스(-)인 경우 손실

이러한 수익과 비용, 그리고 그 결과인 이익을 특정 기간(예: 1년, 3개월) 단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재무 보고서가 바로 손익계산서입니다. 손익계산서를 보면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벌고 얼마나 썼는지, 그래서 최종적으로 얼마의 이익을 남겼는지 알 수 있습니다.


2.2. 손익계산서의 주요 이익 구분

 

이익 종류 정의
매출총이익 제품/서비스 판매 금액(매출액)에서 해당 제품/서비스를 만드는 데 직접 들어간 비용(매출원가)을 뺀 금액 매출액 매출원가
영업이익 매출총이익에서 제품 판매 및 회사 운영에 필요한 간접비용을 뺀 금액 매출총이익 - 판매관리비
세전이익 영업이익에서 영업 외 활동(이자 수익, 이자비용..)에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더하거나 뺀 금액 영업이익 + 영업 외 수익 - 영업 외 비용
당기순이익 세전이익에서 법인세 등 세금을 뺀 최종적인 이익으로, 회사에 순수하게 남는 돈. (주주에게 배당되거나 회사에 유보되어 재투자 등에 사용됨) 세전이익 - 법인세 비용

 

손익계산서에서는 사업 활동의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킨집의 예시를 들어 각 이익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 치킨 100마리 판매
- 치킨 1마리 판매 가격: 20,000원
- 치킨 100마리 생산에 들어간 직접 비용 (닭, 튀김가루, 소스, 포장재 등): 500,000원
- 가게 임차료, 알바생 급여, 광고 전단지 비용 등 (판매관리비): 800,000원
- 은행 예금 이자 수익 (영업외수익): 10,000원
- 은행 대출 이자 비용 (영업외비용): 50,000원
- 법인세 비용: 100,000원

<이익 계산>
1. 매출액 = 20,000원/마리 × 100마리 = 2,000,000원
2. 매출원가 = 500,000원
3. 매출총이익 = 2,000,000원 - 500,000원 = 1,500,000원
4. 판매비와관리비 (판관비) = 800,000원
5. 영업이익 = 1,500,000원 - 800,000원 = 700,000원
6. 영업외수익 = 10,000원/ 영업외비용 = 50,000원
7. 세전이익 = 700,000원 + 10,000원 - 50,000원 = 660,000원
8. 법인세비용 = 100,000원
9. 당기순이익 = 660,000원 - 100,000원 = 560,000원

 

이와 같이 손익계산서는 사업 활동의 각 부분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중 회사의 핵심적인 영업 활동 성과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는 영업이익입니다. 매출총이익은 제품 자체의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지만, 판매 및 운영 비용(판매관리비)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 영업 성과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당기순이익은 차입금에 대한 이자 비용 등 영업 외적인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순수한 사업 역량을 평가하기에는 영업이익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와 수익 창출 능력을 평가할 때 영업이익이 중요하게 활용됩니다.


2.3. 돈의 흐름: 비용, 자산, 손실

회사가 돈을 지출했을 때, 그 돈이 재무제표상 어디로 가는지는 그 지출이 미래의 수익 창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시 치킨집 예시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A씨가 치킨 10마리를 만들었는데, 오늘 3마리가 팔리고, 2마리는 상해서 버리게 되었으며, 5마리는 아직 팔리지 않고 남아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 판매 완료된 치킨 3마리: 이 치킨들은 판매되어 수익(매출)을 창출했습니다. 이 3마리를 만드는 데 들어간 비용(닭 값, 기름 값 등)은 수익 창출에 직접 기여한 비용(매출원가)이 되어 손익계산서에 기록됩니다.
  • 판매 불가능한 치킨 2마리: 이 치킨들은 상했기 때문에 더 이상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없습니다. 즉, 미래 수익에 기여할 가치를 잃은 것입니다. 따라서 이 2마리를 만드는 데 들어간 비용은 수익 창출에 기여하지 못한 손실로 처리되어 손익계산서의 비용 항목에 반영됩니다. 동시에, 재무상태표에 자산으로 기록되어 있던 재고자산(치킨)의 가치가 그만큼 감소합니다.
  • 판매 대기 중인 치킨 5마리: 이 치킨들은 아직 팔리지는 않았지만, 미래에 판매되어 수익을 창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5마리를 만드는 데 들어간 비용은 현재 시점에서는 비용으로 처리되지 않고, 미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자산(재고자산)으로 재무상태표에 기록됩니다. 이 치킨들이 나중에 팔리면 매출과 매출원가(비용)가 되고, 만약 상해서 버려지면 손실(비용)이 되면서 재무상태표의 자산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를 요약해보면 판매를 위해 [대기중]인 재고자산이 [판매]가 되면 매출과 매출원가로, [판매가 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손실로 기록이 되는 것이겠죠. 결론적으로, 회사가 돈을 지출했을 때 그 돈은 다음 세 가지 중 하나로 귀결됩니다.

  • 수익 창출에 직접 기여하고 소멸하여 비용(원가)이 되거나,
  • 미래 수익 창출을 위해 대기하는 자산이 되거나,
  • 수익 창출에 기여하지 못하고 소멸하는 손실(비용)이 됩니다.

이러한 돈의 흐름과 그 결과가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에 기록되어 회사의 경영 성과와 재산 상태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상태 수익 창출에 기여했는가? 이름
판매 완료 YES 원가 (비용)
판매 대기 Not yet 자산
판매 불가능
(유통 기한이 지났거나, 제조 상의 실수로 판매할 수 없는 상태가 됨)
NO 손실 (비용)

2.4. 수익성 평가하기

그렇다면 회사가 이러한 수익과 비용, 손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결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지, 즉 회사의 수익성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회사의 수익성은 일정 기간 동안의 경영 성과를 요약한 손익계산서에 나타난 항목들을 분석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습니다. 크게 세가지 항목 (매출총이익률, 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률)으로 수익성을 평가하며, 공식과 그에 대한 의미는 다음 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익성 평가 항목 해석 안정적인 기업 기준
매출총이익률 매출총이익/매출액 매출로 얼마나 수익을 냈나? -
영업이익률 영업이익/매출액 영업에서 얼마나 수익을 냈나? 10% 이상
당기순이익률 당기순이익/매출액 올해 얼마나 수익을 냈나? 5% 이상

3. 쿠팡 기업 평가해보기

3-1. 쿠팡의 현재 상태는?

쿠팡의 재무상태표 (출처: dart)

 

 

✅쿠팡의 재무상태표

  2024 2023 증가율
자산 16,151,958 13,578,654 🔺18.95%
부채 12,578,451 11,055,465 🔺13.77%
자본 3,576,507 2,523,189 🔺41.75%
🤑부채비율 352% 438% 🔻86%p

 

재무 상태표를 처음부터 상세하게 뜯어보면 굉장히 어지럽습니다. 따라서 큰 틀의 자산, 부채, 자본을 우선 살펴보겠습니다. 자산은 16.2, 부채는 12.6, 자본은 3.6으로 자산 = 부채+자본이라는 공식이 성립됨을 알 수 있습니다. 쿠팡은 사업에 쓸 수 있는 자원인 자산이 16조이고, 그 중 쿠팡이 소유한 순자산인 자본은 대략 3.6조네요. 

 

✅쿠팡의 재무 건전성은 어떠할까? (부채비율)

쿠팡의 부채비율은 12.6/3.6 *100= 350% 입니다. 부채가 순자산의 3.5배네요. 쿠팡의 부채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고, 이는 외부 자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부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이자비용의 부담, 차입금 상환 등의 리스크가 따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전년 대비 부채비율이 약 86%p가 개선되었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로 보입니다. 점점 부채를 줄이고 자본을 늘리는 구조로 전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3-2. 쿠팡의 수익성은?

쿠팡 손익계산서 (출처: dart)

 

✅쿠팡의 손익계산서

  2024 2023 전년 대비 성장률
1. 매출총이익 36.1 - 25.4 = 10.7 (조) 30.7 - 22.7 = 8.0 (조) +33.8%
1.1. 매출액 36.1 30.7 +17%
1.1.1. 상품매출액 30.7 27.2 +12.9%
1.1.2. 기타매출액 5.4 3.5 +54.3%
1.2. 매출원가 25.4 22.7 +11.9%
판관비 9.5 7.2 +32%
영업이익 10.7-9.5 = 1.2 (조) 8.0 - 7.2 = 0.8 (조) +50%
당기순이익 0.78 1.9 -59%
원가율 25.4/36.1 = 70.4% 22.7/30.7 = 73.9% - 3.58%p 

 

쿠팡의 2024년 매출총이익은 10.7조이고, 전년대비 33.8% 성장했습니다. 매출액은 1.1.1.상품매출액 & 1.1.2.기타매출액으로 나뉘어 있는데요, 상품매출액은 로켓배송을 위해 직매입한 상품이나 직접 제작한 PB상품을 판매함으로써 얻은 매출이며, 기타매출액은 쿠팡에 입점한 파트너들로부터 받는 플랫폼 서비스 수수료, 광고 수익 등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기타매출액이 전년대비 54.3%나 상승해 상품매출액 성장률의 약 4배에 달하는 점이 눈에 띕니다. 이는 쿠팡이 수수료, 광고 등 비상품 매출을 효과적으로 늘려 수익 다변화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 같네요.

 

매출원가는 주로 로켓배송을 위한 직매입 상품 비용과 창고 운영비용 등으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매출원가는 전년 대비 약 12% 증가했지만, 매출액은 17%가 증가해 매출액의 성장률이 매출원가의 성장률보다 컸습니다. 이를 원가율로 보면, 2023년엔 73.9%에서 2024년엔 70.4%로 원가율이 약 3.6%p 개선되어, 매출대비 원가 부담이 줄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원가율이 낮아지면서 매출총이익 성장률(33.8%)이 매출액 성장률(17%)를 훨씬 웃도는 결과를 보였고, 쿠팡의 수익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판관비는 32% 상승했으나, 매출총이익의 증가폭(33.8%)과 맞물려 판매관리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0% 증가한 것을 보여, 역시나 수익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50%라는 영업이익 증가율은 2023년의 영업이익 규모(8000억)가 상대적으로 작았던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4 2023 전년 대비 성장률
매출총이익률 10.7/36.1 = 30% 8.0/30.7 = 26% +4 %p
영업이익률 1.2/36.1 = 3.3% 0.8/30.7 = 2.6% +0.7 %p

 

보통 안정적인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5% 이상입니다. 쿠팡의 영업이익률은 3.3%로 안정적인 기업이라고 볼 순 없겠습니다. 그러나2023년에 처음으로 흑자로 전환된 상황과 영업이익이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흑자이며 전년대비 50%가 증가한 점, 그리고 매출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17%)보다 영업이익 증가율(50%)이 약 3배임을 고려할 때, 이 기세를 몰아 앞으로 영업이익률도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겠습니다.


마무리

기업의 재무제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한 것을 잊지 않으셨겠죠? 오늘의 포스트에서는 아래의 5가지 질문 중, 재무제표를 통해 1번과 2번 질문인 회사의 현상태 & 사업 수익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3번 질문인 회사의 자산을 평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회사의 현재 재산 상태는?
2. 회사의 사업은 돈이 되는가? (수익성)
3. 회사의 자산은 적절히 구성되고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활동성)
4. 회사가 망할 위험은? (안정성)
5. 회사의 가치는 얼마인가?

참고 서적: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

https://www.yes24.com/product/goods/56933457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 - 예스24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은 마트의 PB상품처럼 거추장스럽고 불필요한 선전문구와 과대포장은 걷어내고 알짜 정보만을 담아 가장 쉽고 가장 빠르게 재무제표를 읽게 해주는 책이다.

www.yes24.com